안녕하세요!
겨울이 지속되면서 독감이 유행하고 있는데요.
아직도 독감을 '독'한 '감'기로 오해하고 계시는 분! 계실까요?
감기와 독감은 전혀 다른 질병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감기와 독감의 차이를 한번 알아보려고 합니다!
아데노바이러스나 리노바이러스 등 여러 바이러스에 의해서 생기는 감기는 사계절 내내 걸릴 수 있지만
독감은 주로 겨울철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생긴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증상에서도 차이를 보이는데요.
감기는 증상이 심하지 않고 대개는 1주일 이내에 좋아집니다.
반면 독감은 증상이 심하고 합병증이 생기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요.
독감은 1∼5일간의 잠복기를 거쳐 열과 함께 심한 근육통이 생기는 등 전신증상이 나타납니다.
콧물이 나고 목구멍이 따갑고 기도가 막히며 가래도 나오며
특히 팔 다리 허리 등의 근육통과 소화불량과 같은 증상이 동반됩니다.
특히 후유증으로 경련, 혼수상태, 급성 기관지염, 폐렴을 일으켜
심한 경우 사망할 수도 있다는 사실..!
지금이 바로 독감 예방주사를 맞아야 할 때!
독감은 여러 합병증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심각한 상황을 피하기 위해
예방주사를 맞는 것이 좋습니다.
2세 이하의 아이가 집에 있다면 부모도 함께 접종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독감이 1월에서 3월 사이에 유행하는 경우가 가장 많은데,
항체가 생기는 기간과 예방효과가 지속되는 기간을 고려할 때
9월 하순에서 10월 중순 사이 늦어도 11월까지는 예방주사를 맞는 것이 좋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기와 독감 예방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우선 가장 중요한 손 씻기와 청결 관리!
감기와 독감에 걸리지 않기 위해서는 손을 자주 씻어 손에 묻어 있을 수 있는 감기 바이러스를 없애고,
손으로 눈 · 코 · 입을 비비지 않아야 합니다.
샤워를 할 때에는 뜨거운 물이 아닌 미지근한 물을 사용하여
몸의 급격한 체온 변화에 다른 면역력 저하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공기가 건조해지면 기도 역시 건조해져 감기에 걸리기 쉬우므로
적절한 습도(40-60%)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어린이는 성인에 비해 바이러스에 감염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는 피하는 것이 좋겠죠?
감기의 경우 그 원인을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200여 가지가 넘기 때문에 예방백신이 존재하지 않으나
독감은 예방접종으로 70~90% 예방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예방접종의 효과가 1년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독감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해마다 접종해야 합니다.
지금까지 감기와 독감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이제는 독감! 확실하게 알고 미리 예방 주사를 맞아서
더욱 건강한 겨울을 보내시기 바랍니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감기 vs 독감 (차병원 건강칼럼)
[네이버 지식백과] 같은 듯 다른 감기와 독감 (국민건강지식센터 건강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