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 건강지킴이] 헌혈금지 약물, 알고 있나요?
6월은 헌혈의 날이 있어서 헌혈을 참여할 기회가 더욱 많았을 것 같은데요.
헌혈을 하기 전 문진표에 꼭 체크하는 사항, "복용하시는 약이 있으신가요?"
한번쯤은 체크해본 경험이 있을거에요.
내가 복용하는 약에 따라 헌혈이 불가능할 수 있답니다.
헌혈을 하기로 마음을 먹었다면 내가 복용한 혹은 복용했던 약이 헌혈 금지 약물에 포함되는 지 먼저 알아야겠죠??
헌혈금지 약물이란?
“
혈액을 통해 수혈자에게 전달됐을 때,
건강에 영향을 미칠 위험이 있는 약물입니다.
“
헌혈 금지 약물은 크게 태아 기형을 일으킬 위험이 있는 약물, 기타 약물 및 주사제, 예방접종의 3가지로 나뉩니다.
헌혈금지 약물을 현재 또는 과거에 복용한 경험이 있는 경우
일정기간 헌혈에 참여할 수 없으므로 문진간호사에게 꼭 문의해야 합니다!
수혈자의 태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태아기형 위험약물에는
건선치료제,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 탈모증 치료제, 여드름 치료제, 손 습진 치료제, 항악성 종양 치료제가 있습니다.
우리가 접하는 흔한 약물이 많은데요.
성분에 따라 헌혈금지기간이 다르니 체크해주세요!
기타 약물과 주사제에도 주의해야 할 성분이 있습니다.
우리가 진통제로 많이 복용하는 아스피린 성분도 "3일" 의 헌혈금지 기간을 부여합니다.
항생제도 단순 감기치료 목적일 경우 금지 기간이 1주일이 아닌 "3일" 입니다.
예방접종 후에도 헌혈 금지 기간을 두고 있습니다.
특별한 경우들을 제외하고 인플루엔자, A형 간염, 파상품, 자궁경부암 백신과 같은
일반적인 예방접종은 24시간만 피해주시면 됩니다.
생명을 구하는 가장 쉬운 방법, 헌혈
모두 함께 안전한 헌혈 함께 동참해요!